1. createState() : Framework가 StatefulWidget을 만들경우 createState() 가 즉시 호출된다.
2. initState() : widget이 만들어지고 생성자 후에 처음 메소드 실행할때 이 함수가 실행된다. (super.initState() 필수)
3. didChangeDependencies() : 이 함수는 initState를 호출한 뒤에 실행된다. 또한 이 위젯은 데이터에 의존하는 객체가 호출될 때마다 호출됩니다. InheritedWidget 에 의존하는 경우 업데이틀 합니다.
4. build() : 필수적으로 오버라이딩해서 구현해야되는 함수이다. 위젯을 리턴한다.
5. didUpdateWidget() : 만약 부모 위젯이 업데이트가 되거나 이 위젯이 다시 만들 경우 이 함수가 호출되고 같은 runtimeType (이건 또 뭐징?) 을 함께 다시 만들어진다.
6. setState() : 데이터가 변경된 후 호출됨
7. deactivate() : State가 제거될때 호출됨 (거의 사용안함)
8. dispose() : 영구적인 State Object가 삭제될때 호출된다. 이 함수는 주로 Stream 이나 애니메이션 을 해제시 사용된다.
'개발 > 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cm] postman으로 fcm 푸시알림 전송 (0) | 2021.10.25 |
---|---|
[flutter] flutter doctor 시 Android Studio not found at =/Contents 오류발생 (0) | 2021.06.09 |
[GetX] Flutter GetX (0) | 2021.02.17 |
[flutter] 플러터 링크 모음 (0) | 2020.01.06 |